정세미 강연166 김미선의 주빌리 운동과 돈의 인문학 ② 가계부채 1,300조, 신용카드를 없애라 삶의 변화와 빈곤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간김미선의 주빌리(희년) 운동과 돈의 인문학 ② 천주교 대전교구 한끼100원나눔운동본부 주최 금융복지 강연회2016년 12월 16일(금) 저녁 7시 30분, 대전 복수동 성당 3층 성전 김미선(데레사) 성남시금융복지센터장의 강연모습 @ 대전 복수동 성당 3층 성전(2016.12.16 금) 2016 한국 가계 재무상황 가계 부채 1300조, 저축률 2% 전 세계 꼴찌 결론은 신용카드를 없애라 돈이 많아야 행복할까요? 사람들은 돈 다발에 깔려 죽는 것을 소원이라고 합니다. 왜그럴까요? 그러면 월급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월급의 의미는 남달라요. 촛불 정국은 프랑스 시민혁명보다 훨씬 더 위에 있는 대단한 혁명입니다. 그런데 프랑스 혁명(1789~179.. 2017. 1. 6. 김미선의 주빌리(희년) 운동과 돈의 인문학 ① 성당에서 돈 이야기를 하는 까닭 삶의 변화와 빈곤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간김미선의 주빌리(희년) 운동과 돈의 인문학 ① 천주교 대전교구 한끼100원나눔운동본부 주최 금융복지 강연회2016년 12월 16일(금) 저녁 7시 30분, 대전 복수동 성당 3층 성전 김미선(데레사) 성남시금융복지센터장의 강연모습 @ 대전 복수동 성당(2016.12.16 금) 234란 숫자는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주역 괘로 혁명의 괘라고 합니다. 소름이 끼칩니다. 그리고 오늘 (12월 16일의) 16이란 숫자, 지금이 대림시기인데, 대림이란 기다림인데 16일 전후로 다른 기다림이 있다고 합니다. 제가 다니는 성당 신부님이 말씀하시길 16일 전은 다시 오시는 메시아를 기다리는 것이고, 16일 후는 우리를 구원하시는 아기예수님을 기다리는 날이라는 겁니다. 어.. 2017. 1. 6. [20161121 일정] 은수미 전 의원의 당신을 사랑합니다 (81차 정세미, 목동) 2017. 1. 3. [20161114 일정] 이유진 위원장의 탈핵과 에너지 대안 (80차 정세미, 쌍용2동) 2017. 1. 3. [20161017] 진희관 교수 강연. 평화통일과 남북관계(79차 정세미, 전민동) LECTURE (79차 정세미, 대전 전민동 성당, 2016년 10월 17일) 인제대 진희관 교수의 '평화통일과 남북관계' 제목. 두가지 이야기1) 북핵과 미사일에 대한 이야기2) 과연 북한의 엘리트들은 수시로 숙청당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가난하고 굶어죽고 있나? (다음 내용은 강연자의 말씀을 요약정리한 것입니다. 따라서 내용 중 어색하거나 부정확한 내용이 있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편집자의 실수나 오해에 따른 것임을 미리 밝힙니다. 그리고 강사님이 말씀하신 대부분의 내용들은 언론검색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 신앙은 믿음으로 시작하지만, 사회과학자는 믿음에서 출발하지 않고, 모든 현상을 의심에서 출발하는 나쁜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회과학자인) 저같은 사람에게 오히려 신앙이.. 2017. 1. 3. [20161017 일정] 진희관 교수의 평화통일과 남북관계(79차 정세미, 전민동) LECTURE Link [20161017] 진희관 교수 강연. 평화통일과 남북관계(79차 정세미, 전민동) 2017. 1. 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