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세미 강연166

[20141117] 이호중 교수의 법이 이야기하는 민주주의란(정세미 42차) 2014년 11월 17일[궁동성당] 42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강연이호중 교수의 법이 이야기하는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강연 제42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강연 (정세미)이 지난 17일(월) 궁동성당 (주임신부 박요순 베드로, 보좌신부 장우일 안또니오) 대성전에서 있었다. 2014년 8월 방한한 교황님이 보여준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 대한 사랑을 계기로 가톨릭 사회교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정평위)에서는 우리 사회와 교회 안에서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를 2010년부터 매월 1회 진행해왔다. 궁동성당은 지난 11월 17일(월) 저녁 7시에 대성당에서 미사를 봉헌한 후 “법이 제시하는 민주주의와 우리나라의 현실”를.. 2016. 12. 24.
[20141110 일정] 홍세화의 민주주의와 시민의식 (정세미 41차, 천안) 2014년 11월 10일(월) 오후 7시[천안 불당동성당] 41차 정세미홍세화의 민주주의와 시민의식 홍세화 진보신당(현 노동당)전 대표가 2014년 11월 10일(월) 천안 불당동 성당에서 강연을 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대전교구 정평위 제 41차 정.세.미.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강연)1. 일시 : 2014. 11. 10 (월요일) 오후 7시 2. 장소 : 천안 불당동 성당 3. 강사 : 홍세화 이사장 4. 주제 : 민주주의와 시민의식 2016. 12. 24.
[20141020] 최승호PD의 민주주의 토대위한 언론 책임과 역할(정세미 40차) 2014년 10월 20일[원신흥동성당] 40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강연뉴스타파 최승호 PD의 민주주의 토대 위한 언론의 책임과 역할 10월 20일(월)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특강(정세미)이 저녁 7시, 대전시 유성구 원신흥동 성당에서 있었다. 강사로는 뉴스타파 최승호PD가 민주주의 토대를 위한 언론의 책임과 역할이란 주제로 강의해 주셨다. 2016. 12. 24.
[20140519] 이계삼의 선거 그 위대한 이름이여(정세미 35차) 2014년 5월 19일 제35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정세미) 2014년 5월19일, 하기동성당 "국가와 시민이 민낯으로 직접 부딪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정치가 존재한다. 세월호 사건은 정치가 먼저 나서서 국가의 기능을 일시 중지시키고 시민들을 광장으로 불러내어 거대한 대화와 토론의 마당을 열어 놓아야 마땅한 사태인 것이다. “오늘로 이 나라는 망했다. 판을 새로 짜자. 시민들은 말을 하라. 우리는 그것을 재구성하여 의제로 만들어 주겠다....” 정치는 지금 이 나라의 시민들을 향하여 가던 길을 멈출 것을 권고하고, 이런 말을 걸어야 하는 것이다 (한겨레 칼럼) 밀양에서 할매들과 온 몸으로 송전탑 반대 대책위를 꾸려가며 평생 교사로 살아가고 계신 이계삼 선생과의 대화에 함께 하여 주십시오 *.. 2016. 12. 24.
[20140428 일정] 하종강의 한국의 노동조합, 과거와 미래 (정세미 34차) 2014년 4월 28일 PHOTO Link [20140428 사진] 하종강의 한국의 노동조합, 과거와 미래 (정세미 34차) 2016. 12. 24.
[20140317] 정연주의 한국사회 언론 어디로 가야하는가에 대한 강평 2014년 3월 17일(월) 33차 정세미 정연주의 한국사회의 언론은 어디로 가야하는가?박갑주 대건안드레아 2014년 3월 17일 (월) 저녁 7시 대전 탄방동 성당에서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주최하는 제33차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강연 (정.세.미.)이 열렸다. 이 강연에는 정연주 전 KBS 사장을 초청하여 "한국 사회의 언론은 어디로 가야 하나 ?"라는 주제로 약 2시간에 걸친 강의를 듣는 시간이었다. 성당에서 열리는 강연이었기에, 듣는 이들은 대부분이 천주교 교우들이었으며 대략 120여명이 참석하였다. 여기서 "120명이 참석하였다."는 것은 바로 사실을 보도하는 것이다. 바로 언론이 해야 할 일이 이것이다. 바로 사실보도이며, 있는 그대로를 사실대로 알리는 것이다. 정연주 .. 2016.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