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평화세상1470 [20090527 사진] 사회교리학교 1기 제7강좌 정치공동체(김인국 신부) 2009년 5월 27일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주관제1기 사회교리학교 제7강 정치공동체 김인국 신부(정의구현사제단 총무) 강의대전가톨릭문화회관 2층 사랑관2009년 5월 27일(수) 저녁 7시30분~9시 [20090527] 사회교리학교 1기 제7강좌 정치공동체 강의록(김인국 신부) 2016. 12. 19. [20090527] 김인국 신부의 정치공동체 강의(제1기 사회교리 7강 자료) 2009년 5월 27일(수) 저녁 7:30~9:00대전가톨릭문화회관 2층 사랑관 사회교리의 실천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사례 - 사람은 사람 그 이상이다. 인간의 존엄과 죄의 비극- 새 하늘 새 땅에 대한 꿈- 대한민국, 옥(獄)의 현실을 신(信)이 되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사제단 그들은 누구인가? 1. 친북좌파/ 불법폭력세력의 정의 ① 진보 개혁을 빙자한 친북 사회주의 사상가들(네이버 지식iN)② 종교인으로서 양심도 없는 집단(뉴라이트전국연합 | 2008.7.1)③ 불법폭력집단(경찰청 선정)④ “수구좌파들, 이제 커밍아웃하라!”(서울대 윤리학과 박효종 교수 중앙일보 인터뷰 | 2009.4.13일자)사제들이 시국을 비판할 수 있는 것 아닙니까? 그분들이 제일 잘못한 것은 성속의 경계를 너무 자유롭.. 2016. 12. 19. [20090605] 생태계 파괴를 담보로 하는 경제 성장은 무의미합니다(주교회의 정평위) 2009년 6월 5일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2009년 환경의 날 담화문 생태계 파괴를 담보로 하는 경제 성장은 무의미합니다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 위기로 전 세계의 경제가 어려움에 처해 있습니다. 미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특히 높은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자원 위기와 환경 위기를 겪는 이 시대에 선진국들이 녹색 산업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는 데에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국가 비전으로 ‘녹색 성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녹색 성장’의 정책 방향을 구현하고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수많은 논란 속에 백지화된 한반도 대운하 계획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합니다. 환경 문제에 대한 고려 없이는 경제 발전도 생각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2016. 12. 19. [20090531] 우리는 생명문화 건설의 주역입니다(주교회의 생명윤리위) 2009년 5월 31일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제15회 생명의 날 담화문 우리는 생명문화 건설의 주역입니다 오늘 우리는 제 15회 생명의 날을 맞이하여 우리 사회에 만연된 ‘죽음의 문화’를 우려하며, ‘생명의 문화’ 건설을 위한 각오를 새롭게 하고자 합니다. 실상 우리 사회에서 생명의 가치를 끊임없이 위협하고 있는 ‘죽음의 문화’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그 심각성도 위험 수위를 넘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자살과 낙태시술 국가라는 오명은 우리 사회의 부끄러운 생명 경시 문화를 단적으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존엄사’라는 미명 하에 하느님으로부터 선사된 고귀한 인간 생명에 대한 침해를 제도적으로 정당화하려는 움직임 역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러한 때에 우리 사회에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 2016. 12. 19. [2009년 뉴스링크] 노동, 노동자, 노동문제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가톨릭뉴스 지금 여기 연재 링크 노동, 노동자, 노동문제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지금여기 노동절 기념 토론회 발제-1] 2009년 5월 7일자 [발제문] 노동, 노동자, 노동문제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기념 토론회 토론 1] 공동체 관점에서 본 교회 내 사업장 노사 관계[발제2] 가톨릭 사업장의 문제와 쟁점들 - 병원과 기관 [기념 토론회 토론 4] 교회 안에서 노동자로 산다는 것 교회 안에 노사갈등 중재할 기구 필요해 - 한상봉 글 2016. 12. 19. [20090422] 성염 교수의 사회교리의 신앙적 토대(제1기 사회교리 1강 자료) 2009년 4월 22일(수) 저녁 7:30~9:00대전가톨릭문화회관 2층 사랑관 대전교구 제1기 사회교리학교 제2강좌 사회교리의 신앙적 토대(강의초안) 1. 가톨릭교회의 국민적 위상, 세계적 위상 도입: 김수환 추기경의 유훈 우리나라 국민이 존경하는 어른(김수환), 존경하는 부류(가톨릭 사제) 전국민의 관심과 존경과 애도: 어디서 유래하는가? 전 국민이 무엇을 보러 명동으로 갔고 TV를 지켜보았을까? 종교인: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우선적 사랑” 지도자: “민주화의 거목” 2005.4.2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서거와 장례식, 400만 젊은이 운집 (베네딕토 16세의 선거와 즉위식: 세계적 관심) (1) 인류사회가 요한 바오로 2세에게서 존경하는 바: “가톨릭교회의 과거사 정리”(2000년 사순절 재의.. 2016. 12. 19. 이전 1 ···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