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안팎뉴스792

[제주 4.3 기행](4) 비극의 도화선이 된 47년 3-1절 만세기념대회 [제주 4.3 기행](4) 47년 3-1절 만세기념대회의 비극 대전정평위 제주 4.3 방문단(2018.11.10 토) 제주 평화공원 제2관 해방과 좌절해방되었지만 더 큰 참극에 휘말린 제주의 아픈 역사 1947년 3월 1일의 발포사건은 다음 해 4.3 새벽에 일어난 무장봉기와 이어진 대학살극의 신호탄이 되었다. 사진은 제주다크투어 강은주 공동대표가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모습이다. 제주 섬의 지정학적 위치는 강대국인 미국이나 중국이나 결코 뺏길 수 없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국제적 힘의 역학관계상 제주도가 반드시 평화의 섬이 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제주 4.3의 비극은 이 섬이 다시는 강대국의 전초기지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광복 이후 미군.. 2018. 11. 11.
[제주 4.3 기행](3) 동아일보의 가짜뉴스와 친일파의 득세 [제주 4.3 기행](3) 동아일보의 가짜뉴스와 친일파의 득세대전정평위 제주 4.3 방문단(2018.11.10 토) 제주 평화공원 제2관 해방과 좌절 친탁과 반탁을 명쾌하게 '오보'하여 판을 뒤집다 동아일보의 1945년 12월 27일자 가짜뉴스로 인해 숨죽이고 있던 친일파가 다시 득세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난 몇 년간(2016~2018) 예멘 출신 난민 500여 명이 제주도에 입국했다. 제주도는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별다른 조건 없이 3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다는 점이 입국을 가능하게 했다. 이처럼 난민이 대거 유입된 건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게다가 그들은 모두 이슬람 신앙인들이었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는 본격적인 반 난민 여론, 반 이슬람 여론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찬반을 떠나서라.. 2018. 11. 11.
[제주 4.3 기행](2) 해방과 좌절 - 전쟁-해방-자치-미군정-3.1 발포사건 [제주 4.3 기행](2) 제주의 해방과 좌절대전정평위 제주 4.3 방문단(2018.11.10 토) 제주 평화공원 제2관 해방과 좌절 전쟁-해방-자치-미군정-3.1 발포사건 대전정평위 [제주 4.3 평화기행단]이 1박 2일의 일정을 시작하며 처음 방문한 곳은 제주평화공원이었다. 우리는 오전 11시경 공원의 전시관에 들어섰고, [제1관 프롤로그]로 통하는 길은 동굴로 된 입구였다. 제주 4.3평화기념관 전시관 제2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흔들리는 섬'이라는 제목 아래로 해방과 자유를 뜻하는 영어(Liberation and Frustration)이라는 글자가 씌여있다. 그리고 [제1관]을 거쳐 [제2관 해방과 좌절]은 해방의 기쁨도 잠시, 1948년 4월 3일의 무장봉기 상황으로 치닫게 되는 순간을 보여준다.. 2018. 11. 10.
대전정평위 평화기행단, 70년 맞이한 제주4.3 다크투어 대전정평위 평화기행단, 대전교구 설정 70주년 기념해 70주년 맞이한 제주4.3 역사투어2018.11.10~11(일), 이틀간 제주 평화공원과 학살지역 등 방문 2018.11.10(토) 오전 11시경 촬영 제주 4.3 평화공원 전시관의 첫 순간은 역사의 동굴로 입장하는 것이다. 역사의 동굴이 우리를 맞이하는 까닭은 제주도가 화산활동으로 이루어진 섬이어서, 용암동굴이 굉장히 많기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손색이 없는 천연자연 유산으로서의 동굴이고 또 발 밑으로 뚫리는 수직동굴들도 있다. 하지만 그런 동굴들에는 굉장히 아픈 사연이 숨어있다. 4.3당시 실제로 그런 동굴들에서 제주 양민들이 피난 생활을 했고, 길게는 두 달가량 숨어 살기도 했으며 발각되어 죽음을 면치 못했던 제주의 처참한 기억이 숨어있는 곳이기때문.. 2018. 11. 10.
노암 촘스키 등 세계 평화활동가 435명, "제주 해군기지 관함식 문제있다" 비판 노암 촘스키 등 세계 435명 평화활동가 10/10 성명 발표“제주 해군기지 관함식 문제있다” 비판 성명 지난 10월 10일(수) 제주해군기지에서 우리나라 해군의 국제관함식이 시작되면서, 이를 반대하는 평화활동이 강정마을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다. 강정마을에 자리잡은 가톨릭 성프란치스코평화센터(이사장 강우일 주교) 역시 10월 8일 성명을 내고 “역사를 뒤엎어버리는 해군의 국제관함식 개최”를 비판했다. 자료사진: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지난 2016년 6월 6일(월) 제주 강정마을을 방문, 오전 11시에 생명과 평화의 미사를 바쳤다. 미사를 마친 40 여명의 신자들은 활동가들과 함께 제주 해군기지 앞에서 평화의 섬 제주를 기원하는 율동과 춤으로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은 2016/6/6.. 2018. 10. 11.
[선착순 마감 임박] 제주 4.3 평화기행(11/10 토~11 일) 아직 몇 자리 남았습니다. 대전정평위 사무국장님에게 연락하시면 됩니다. 제주 왕복 항공비용(본인부담)을 제외하면 참가비 5만원으로 1박 2일의 평화기행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11월 10일(토) 오전 10시 30분, 제주공항에서 만나서 집결하고, 끝나는 날인 다음 날인 11월(일) 오후 5시까지는 제주공항에 도착합니다. 문의: 042-334-0025 / 010-3270-7301 (대전정평위 사무국장) 2018. 9. 10.